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겠다는 의미에 대하여

2015-08-04
조회수 948

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겠다는 의미에 대하여

 

가원

 

지난 715일에는 세월호 참사, 인권으로 기록하다라는 이름으로 인권실태조사 보고대회가 열렸다. 416 인권침해실태조사 보고서는 세월호 참사로 인해 박탈당한 권리가 무엇인지와 피해자 집단별 권리를 요약하는 방식으로 피해 사실을 드러냈다. 해당 보고서는 피해자의 범주를 희생자 혹은 희생자/피해자의 직계 가족 등 참사의 일차적인 피해자 외에도 구조에 참여하였던 민간 잠수사, 참사 지역이 삶의 터전인 진도어민, 장기 자원봉사자 등도 참사로 인해 심각한 경제적, 심리적, 육체적 피해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그 동안 잘 드러나지 않았던 피해자의 범주 역시 다양했다. 1) 생존학생의 부모, 2) 생존학생의형제자매, 3) 수학여행을 가지 않은 학생들, 4)단원고 재학생, 5) 단원고 교사, 6) 군에 입대한 생존자 등 이들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정부와 사회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의 허술한 점을 드러냈다.


 

인권실태조사 보고대회


잊지 않겠다는 말의 의미..

 

세월호 참사가 터지고 사람들은 약속이나 했다는 듯이, 죽어간 희생자들에 대해 미안함을 고하고 잊지 않겠다는 스스로의 다짐을 했다. 왜 그랬을까? 왜 그렇게 미안했고, 왜 그렇게 잊지 않을 것을 다짐해야 했을까? 우리는 세월호 참사의 직접적인 피해자가 아닐 뿐 세월호가 바닷속으로 가라앉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지켜보며 국가와 사회에 대한 신뢰가 붕괴하는 경험을 공유하게 되었다. 거대한 피해자 집단이 생겨난 것이다.

 

참사의 피해는 참사 희생자/피해자 혹은 그의 가족 뿐 만 아니라 전 세대를 아울러 영향을 미친다. 어떤 사고나 재난이 참사가 되는데는 국가에 존재하는 사회 제도의 실패나 취약성을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에, 참사의 회복은 국가와 사회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는 곧 참사가 일어난 이후 책임자 처벌, 피해자에 대한 배보상, 경제적, 의료적, 심리적 지원에 이르기 까지 이 모든 과정은 사회 제도의 일부로써 자리하여야 하고 재발방지와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하지만 피해자의 권리가 제도적으로 보장받기도 전에 현실 속에서 참사 피해자들은 시체 장사꾼, 종북세력, 거지 근성, 선동꾼 등과 같은 혐오표현과 혐오행위를 마주해야 했다. 온라인상에서 뿐만 아니라 세월호진상규명법 제정을 촉구하며 단식 투쟁을 하는 유가족 앞에서 폭식투쟁이나 세월호 참사 추모리본 철거시도 등의 구체적인 행동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구체적인 혐오 행위는 희생자에 대한 애도를 방해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참사에 대한 기억 자체를 왜곡시킴으로써 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과 연루되어 있다는 사실 자체를 망각시킨다. 이런 인식은 놀러갔다가 교통사고를 당한 것을 왜 국가가 책임져야 하느냐는 말처럼 참사를 한 개인의 불행으로 치부하거나, 참사의 책임을 온전히 개인에게 부담 지우는 효과를 가져 온다.


참사를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참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국가는 참사의 기억을 보존하고 집단적 기억을 만들고 전파하는데 일차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을 시, 상상하기도 끔찍한 대형 참사는 또 다시 벌어질 수 있다.




[참고] 729일 발표된 세월호 인양, 진상규명, 안전사회 대안 마련과 추모지원을 위한 82대 과제 http://416act.net/notice/5085

  • (우03371)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4 서울혁신파크 미래청 305호
  • Tel. 02)6287-1210 
  • Fax. 02)6287-1211 
  • E-mail. kocun@kocun.org  

  •  
  • 사무실 운영시간: 월-금 9:00 ~ 17:00 / 휴무. 토,일,공휴일  

  •  

(사)유엔인권정책센터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 특별협의 지위를 획득한 비영리 민간단체입니다.


©KOCU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