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연 위원, 한-일 대학생 대상 <사회정의 이룩을 위한 한-미-일 3자 협력>에서 국제 리더십 교류 강화
2월 16일(화) 한-일 청년 리더 대상 <사회정의와 장애> 주제로 강연
공보참사관 미팅 통해 한-미 리더십 교류와 장애 주류화 필요성 강조
김미연위원(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 유엔인권정책센터 이사)이 2월 16일 화요일 서울미국대사관 공공외교 국제교류 프로그램, <다양성과 포용 증진을 통한 사회정의 이룩 3자 협력(Trilateral Collaboration in Enhancing Diversity and Inclusion for Promotion Social Justice)>에 참여해 <사회정의와 장애>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2월 20일 <세계 사회정의의 날>을 맞이하여, 장애인 등 소외된 사회구성원의 관점에서 사회정의 실현에 대한 의견 교환과 인식제고를 위해 마련되었다. 강연에는 서울미국대사관과 도쿄미국대사관 관계자 및 한국, 일본 청년 리더 42명이 온라인으로 참여하였다.
김위원은 존롤스의 정의론을 차용해, '평등하게 태어나지 않은 편차(장애를 경험하게 하는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등의 조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며, 국가는 불리한 위치에 있는 장애인의 조건을 ‘보편적 디자인’과 ‘합리적인 편의제공’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법과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서 정의(definition)하고 있는 ‘장애’ 및 ‘장애인’을 비교 설명하며, “장애는 사람 자체가 아니라 사람과 사회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강연 후 그룹토의에서 학생들은 “장애를 비롯한 많은 소수자가 혐오의 대상이 되고 있어 정의롭지 못한 현 사회의 문제”를 지적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식제고 교육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어지는 애널리서 라이너마이어(Anneliese Reinemeye) 공보참사관과의 미팅에서 김위원은 “미국이 장애인권리협약 비준에 오바마 대통령 임기 8년 동안 많이 노력해 왔는데, 안타깝게도 비준이 아직 되지 않았다”며, “장애인권에 관심이 많은 바이든 대통령 임기 중 장애인권리협약이 비준되어 유엔을 통한 세계장애인권 향상에 더 적극적으로 기여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위원과 참사관은 2022년 이후부터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등 동북아지역 국가의 장애인권리협약 심의가 예정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한 정책 교류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상호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하였다.
마지막으로 공보참사관은“현재 대한민국은 코로나19의 성공적 방역으로 국제사회에서의 리더십이 기대되고 있다”고 언급하였고, 이에 김위원은“이와 함께 미국의 공공외교정책이 장애 등 인권분야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처럼, 한국의 공공외교정책도 인권분야에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고 소회를 밝혔다.
2021. 2. 17.
(사)유엔인권정책센터
김미연 위원, 한-일 대학생 대상 <사회정의 이룩을 위한 한-미-일 3자 협력>에서 국제 리더십 교류 강화
2월 16일(화) 한-일 청년 리더 대상 <사회정의와 장애> 주제로 강연
공보참사관 미팅 통해 한-미 리더십 교류와 장애 주류화 필요성 강조
김미연위원(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 유엔인권정책센터 이사)이 2월 16일 화요일 서울미국대사관 공공외교 국제교류 프로그램, <다양성과 포용 증진을 통한 사회정의 이룩 3자 협력(Trilateral Collaboration in Enhancing Diversity and Inclusion for Promotion Social Justice)>에 참여해 <사회정의와 장애>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2월 20일 <세계 사회정의의 날>을 맞이하여, 장애인 등 소외된 사회구성원의 관점에서 사회정의 실현에 대한 의견 교환과 인식제고를 위해 마련되었다. 강연에는 서울미국대사관과 도쿄미국대사관 관계자 및 한국, 일본 청년 리더 42명이 온라인으로 참여하였다.
김위원은 존롤스의 정의론을 차용해, '평등하게 태어나지 않은 편차(장애를 경험하게 하는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등의 조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며, 국가는 불리한 위치에 있는 장애인의 조건을 ‘보편적 디자인’과 ‘합리적인 편의제공’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법과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서 정의(definition)하고 있는 ‘장애’ 및 ‘장애인’을 비교 설명하며, “장애는 사람 자체가 아니라 사람과 사회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강연 후 그룹토의에서 학생들은 “장애를 비롯한 많은 소수자가 혐오의 대상이 되고 있어 정의롭지 못한 현 사회의 문제”를 지적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식제고 교육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어지는 애널리서 라이너마이어(Anneliese Reinemeye) 공보참사관과의 미팅에서 김위원은 “미국이 장애인권리협약 비준에 오바마 대통령 임기 8년 동안 많이 노력해 왔는데, 안타깝게도 비준이 아직 되지 않았다”며, “장애인권에 관심이 많은 바이든 대통령 임기 중 장애인권리협약이 비준되어 유엔을 통한 세계장애인권 향상에 더 적극적으로 기여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위원과 참사관은 2022년 이후부터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등 동북아지역 국가의 장애인권리협약 심의가 예정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한 정책 교류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상호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하였다.
마지막으로 공보참사관은“현재 대한민국은 코로나19의 성공적 방역으로 국제사회에서의 리더십이 기대되고 있다”고 언급하였고, 이에 김위원은“이와 함께 미국의 공공외교정책이 장애 등 인권분야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처럼, 한국의 공공외교정책도 인권분야에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고 소회를 밝혔다.
2021. 2. 17.
(사)유엔인권정책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