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보도자료] 김미연 위원,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부의장 선출

2021-03-09
조회수 353


김미연 위원,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부의장 선출  

제24차 세션에서 위원회 투표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부의장으로 선출 돼 

 세계여성의 날 맞이하여 장애여성 리더십 확보에 기여 


김미연 위원(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유엔인권정책센터 이사)이 3월 8일 진행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제24차 세션 개회식에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김위원은 국제사회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제정할 때부터 협약 본문에 장애여성 조항을 포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협약 채택 이후에는 대한민국 장애여성 최초로 유엔장애인권리위원이 되어 장애여성 관련 내용이 국가보고서 심의 과정과장애인권리위원회 내부에서 주류화 될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김위원은 위와 같은 활동을 인정받아임기 3년차인 2021년 3월 열린 제24차 온라인 세션에서 위원회 위원들의 적극적인 지지로 부의장으로 당선되었다.


특히 제24차 세션이 개회하고 의장단 회의가 있던 3월 8일이 세계여성의 날인 점과, 2021년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 중 12명이 장애여성으로 구성된 점함께 당선 된 의장이 호주 국적의 장애여성인 점 등이 이날 김위원의 당선을 더욱 의미 있게 하였다.


김위원은 장애여성을 비롯한 교차적 차별의 위험에 놓인 아동이주민난민 장애 당사자 등 다양한 그룹이 인권 이슈에서 적극적으로 다뤄질 수 있도록 장애여성 당사자로서 헌신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는 18명의 독립적 위치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위원 중 의장 1부의장 3라포터 1명을 선출한다이날 의장으로는 호주의 로즈마리 카예스(Rosemary Kayess)위원이 선출되었고부의장으로는 김미연위원과 함께 멕시코의 아말리아 가미오(Amalia Gamio)위원리투아니아의 조나스 루스쿠스(Jonas Ruskus)위원이라포터로는 이스라엘의 오델리아 피토시(Odelia Fitoussi)위원이 선출되어 2년동안 의장단으로 활약할 예정이다.


한편 제24차 세션은 3월 8일 개회하여 4월 1일 폐회한다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세션은 의장단 선거가 있는 개회식을 시작으로에스토니아 국가 심의선택의정서 사례 논의27조 관련 일반논평 공청회 등 다양한 아젠다를 논의 및 채택하고 폐회할 예정이다.


2021. 3. 8. 


()유엔인권정책센터

  • (우03371)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4 서울혁신파크 미래청 305호
  • Tel. 02)6287-1210 
  • Fax. 02)6287-1211 
  • E-mail. kocun@kocun.org  

  •  
  • 사무실 운영시간: 월-금 9:00 ~ 17:00 / 휴무. 토,일,공휴일  

  •  

(사)유엔인권정책센터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 특별협의 지위를 획득한 비영리 민간단체입니다.


©KOCU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