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 인권제도의 국내 인식 저변 확대를 위해 코쿤이 마련한 인턴십 프로그램 기업과 인권을 소개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유엔의 기업과 인권 이행지침 등 유엔에서 이루어지는 논의를 중심으로 개념을 이해하고, 기업의 ESG 경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한국과 다른 국가의 동향은 어떤지, 쟁점사항은 무엇인지 등을 학습하고 토론하는 과정으로 <기업과 인권>의 전반적인 사항을 살펴보게 됩니다.
또한 UN유엔최고대표사무소 인권담당관과 유엔인권조약기구 위원의 지도 하에 진행됩니다.
기업과인권 인턴십 Curriculum
제 1강 (2023년 4월 11일): 인권경영에 관한 국제기준이 만들어진 과정개요
인권경영 (Business and human rights or human rights-based management)이 국제사회에서 논의된 역사적 과정에 대한 개요를 이해한다.
제 2 강 (2023년 4월 18일): 인권경영의 개념
인권경영의 핵심요소인 인권실사의 내용은 무엇이고 현재 인권실사에 관한 국제표준을 이해한다. 국가가 갖는 인권보호의무와 기업이 갖는 인권실사책임을 구분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제 3 강 (2023년 4월 25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ESG와 인권경영
인권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최근에 부상한 ESG와의 관계와 차이점은 무엇인가를 이해한다.
제 4강 (2023년 5월 16일): 인권경영에 관한 국제규범: 유엔 기업과 인권이행원칙
인권경영에 관한 국제규범 및 국제표준이 마련된 역사적 과정을 이해하고, 현재 국제표준이 된 유엔기업과 인권이행원칙의 국제법적 지위 및 그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제 5강 (2023년 5월 23일): 유엔 ‘기업과 인권 조약’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기업과 인권 국제조약’의 논의과정 및 그 초안의 내용을 이해하고, 과연 이러한 새로운 기업과 인권에 관한 국제조약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그 이유는 (added-value)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 지를 논의하고 이해한다.
제 6강 (2023년 5월 30일): 인권경영의 법제화
국내법 단계 혹은 지역기구 단계에서 마련된 인권경영(인권실사법)의 법제화에 대한 추이를 살펴보고 유엔기업과 인권이행원칙에 부합된 입법이 마련되고 있는 지를 검토한다.
제 7강 (2023년 6월 13일): 한국기업의 인권침해 실제 사례
한국기업에 의해 이루어진 인권침해 실제사례를 검토해보고 이러한 실제사례가 인권경영의 중요성 특히 한국 내에서의 인권실사 법제화에 어떤 함의를 갖는 지를 논의하고 이해한다.
제 8강 (2023년 6월 20일): 한국에서의 인권경영의 미래
현재 한국에서의 인권경영에 관한 이해 및 보급수준을 검토해 보고, 기존의 기업의 인권침해를 규율하는 법제도는 어떤 것이 존재하는 지를 살펴본다. 앞으로 인권경영 특히 인권실사법제정을 위해 이해관계자, 당사자들은 어떤 행동계획을 취해야 하는 지를 논의한다.
UN 인권제도의 국내 인식 저변 확대를 위해 코쿤이 마련한 인턴십 프로그램 기업과 인권을 소개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유엔의 기업과 인권 이행지침 등 유엔에서 이루어지는 논의를 중심으로 개념을 이해하고, 기업의 ESG 경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한국과 다른 국가의 동향은 어떤지, 쟁점사항은 무엇인지 등을 학습하고 토론하는 과정으로 <기업과 인권>의 전반적인 사항을 살펴보게 됩니다.
또한 UN유엔최고대표사무소 인권담당관과 유엔인권조약기구 위원의 지도 하에 진행됩니다.
기업과인권 인턴십 Curriculum
제 1강 (2023년 4월 11일): 인권경영에 관한 국제기준이 만들어진 과정개요
인권경영 (Business and human rights or human rights-based management)이 국제사회에서 논의된 역사적 과정에 대한 개요를 이해한다.
제 2 강 (2023년 4월 18일): 인권경영의 개념
인권경영의 핵심요소인 인권실사의 내용은 무엇이고 현재 인권실사에 관한 국제표준을 이해한다. 국가가 갖는 인권보호의무와 기업이 갖는 인권실사책임을 구분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제 3 강 (2023년 4월 25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ESG와 인권경영
인권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최근에 부상한 ESG와의 관계와 차이점은 무엇인가를 이해한다.
제 4강 (2023년 5월 16일): 인권경영에 관한 국제규범: 유엔 기업과 인권이행원칙
인권경영에 관한 국제규범 및 국제표준이 마련된 역사적 과정을 이해하고, 현재 국제표준이 된 유엔기업과 인권이행원칙의 국제법적 지위 및 그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제 5강 (2023년 5월 23일): 유엔 ‘기업과 인권 조약’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기업과 인권 국제조약’의 논의과정 및 그 초안의 내용을 이해하고, 과연 이러한 새로운 기업과 인권에 관한 국제조약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그 이유는 (added-value)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 지를 논의하고 이해한다.
제 6강 (2023년 5월 30일): 인권경영의 법제화
국내법 단계 혹은 지역기구 단계에서 마련된 인권경영(인권실사법)의 법제화에 대한 추이를 살펴보고 유엔기업과 인권이행원칙에 부합된 입법이 마련되고 있는 지를 검토한다.
제 7강 (2023년 6월 13일): 한국기업의 인권침해 실제 사례
한국기업에 의해 이루어진 인권침해 실제사례를 검토해보고 이러한 실제사례가 인권경영의 중요성 특히 한국 내에서의 인권실사 법제화에 어떤 함의를 갖는 지를 논의하고 이해한다.
제 8강 (2023년 6월 20일): 한국에서의 인권경영의 미래
현재 한국에서의 인권경영에 관한 이해 및 보급수준을 검토해 보고, 기존의 기업의 인권침해를 규율하는 법제도는 어떤 것이 존재하는 지를 살펴본다. 앞으로 인권경영 특히 인권실사법제정을 위해 이해관계자, 당사자들은 어떤 행동계획을 취해야 하는 지를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