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31일, 미등록 이주아동이라는 이유만으로 강제 추방된 몽골 청소년의 학교 복귀를 촉구하는 인권연대가 기자회견을 열고 유엔 이주민인권특별보고관에 개인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주민특별보고관에게 개인 진정서를 제출한 이번 사례의 핵심은 추방 과정에서의 인권 침해와 아동의 교육권 박탈이라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아동의 출국 및 입국과 관련하여 유엔의 주요 인권협약과 권고 사례들에서 보장하고 있는 권리를 살펴본다.
‘이번 포럼은 아동청소년의 권리 실현으로 가는 여정에서 참여권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도전이라고 생각합니다.’ 2012년 6월부터 준비위원단이 함께 준비해온 제2회 코쿤 아동청소년인권포럼이 지난 1월 12일 개최됐다. 8개월간 아동청소년 스스로 꾸려온 포럼은 희비가 교차하는 에피소드, 아동인권에 대한 새로운 앎, 동료들과의 우정을 통해서 아동청소년들 간 연대의 힘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함나경 아동청소년 인권포럼 준비위원장의 생생한 후기!
장애인 인권운동은 역사적으로 당사자 중심 운동이라는 점을 알고 있었지만 장애계 교육에 무려 70명이 넘는 분들이 신청했을 때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올해는 작년 교육을 토대로 본격적으로 민간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국내 시민사회를 최대한 통합하여 포괄적인 민간보고서를 만드는 것이 코쿤의 목표다.
2013년 1월호
유엔인권동향
아동폭력과 체벌을 주제로 유엔 국제회의 개최
제네바 주 유엔 각국 대표부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이 국가별정례인권검토(UPR) 기간 중 아동폭력과 체벌에 관한 회의를 개최했다. 아동체벌 문제는 한국을 포함한 80개 이상의 국가들이 아동권리위원회의 체벌금지 권고를 점진적으로 수용한 후 여러 비준국들에서 떠오르고 있는 이슈다. 이번 회의에서 해외 아동인권전문가들은 아동체벌 금지를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완전한 실현을 위한 바로미터로 보았다.
이주아동의 강제출국 관련 유엔의 협약 및 권고사례
지난 1월 31일, 미등록 이주아동이라는 이유만으로 강제 추방된 몽골 청소년의 학교 복귀를 촉구하는 인권연대가 기자회견을 열고 유엔 이주민인권특별보고관에 개인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주민특별보고관에게 개인 진정서를 제출한 이번 사례의 핵심은 추방 과정에서의 인권 침해와 아동의 교육권 박탈이라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아동의 출국 및 입국과 관련하여 유엔의 주요 인권협약과 권고 사례들에서 보장하고 있는 권리를 살펴본다.국내인권동향
[사회권과 친해지기] 노점상을 경제활동으로 볼 수는 없을까?
노점의 강제철거는 주로 생존권 차원에서 문제 제기돼 왔다. 그런데 노점상에 관한 국제 인권논의 중 “노점을 기업가 정신으로 문화적 자본을 생성하는 공간으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노점상에 관한 흥미로운 유엔의 견해들을 알아본다.
전문가 칼럼
아웅산 수지 여사와 한국에서의 만남 - 코쿤 박경서 이사장과 수지 여사의 인연
여성차별에 관한 실무그룹, 서울에서 아시아지역 전문가회의를 개최하다
지난 12월 4~5일, 유엔 ‘법적 실질적 여성차별문제 실무그룹’이 서울에서 아시아지역 전문가회의를 개최했다. 신혜수 공동대표가 '아시아 각국의 정치적 변화와 여성인권의 관계'를 주제로 열린 이번 회의 참석 후기를 소개한다.
김근열, 김기준, 김병주, 김철효, 김태환, 박경례, 박재형, 신왈수, 오재창, 유병구, 이나영, 이미희, 이수연, 이인숙, 이지은, 임혜진, 장옥희, 전지은, 정춘숙, 최봉태, 최상원, 한승미, 홍민숙, 홍승기 님
정책연구
제2회 KOCUN 아동청소년인권포럼 후기
‘이번 포럼은 아동청소년의 권리 실현으로 가는 여정에서 참여권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도전이라고 생각합니다.’
2012년 6월부터 준비위원단이 함께 준비해온 제2회 코쿤 아동청소년인권포럼이 지난 1월 12일 개최됐다. 8개월간 아동청소년 스스로 꾸려온 포럼은 희비가 교차하는 에피소드, 아동인권에 대한 새로운 앎, 동료들과의 우정을 통해서 아동청소년들 간 연대의 힘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함나경 아동청소년 인권포럼 준비위원장의 생생한 후기!
아동청소년, 여성가족부에 직접 쓴 결의안을 전달하다
장애인권리협약 민간보고서 작성 교육 후기 - 이제는 보고서 작성에 힘을 모을 때
교육 훈련
2013 제12회 제네바 UN인권연수 참가자 모집 안내
유엔인권이사회 의제 파악과 국내인권이슈와의 접점을 찾아 학습하는 기회 마련!
주요한 유엔인권기구 및 국제/지역 NGO 방문!
국제인권보호제도 및 인권을 둘러싼 다양한 주체들의 관점으로 바라본 인권에 대한 학습의 장 제공!
서울시 서대문구 천연동 41번지 2층 (120-140)
Tel. 02) 6287-1210 | Fax. 02) 6287-1211
Email. kocun@kocun.org | Web. www.kocun.org